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결핵의 원인 및 전파와 증상 및 진단. 결핵과 공중보건 관계에 대해 알아보자

by 정텬 2024. 3. 12.

결핵은 기원전 7천년 경 석기 시대의 화석에서 그 흔적이 발견된 이래 인류 역사상 가장 많은 생명을 앗아간 감염 질환으로, 1882년 독일의 세균학자 로베르트 코흐(Robert Koch)가 결핵의 병원체인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을 발견하여 같은 해 3월 학회에 발표함으로써 세상에 알려졌습니다. 우리나라의 결핵 환자는 과거에 비해 크게 감소하였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결핵으로 고통을 받고 있다. 2017년 기준으로 국내 전체 결핵 환자수는 36,044명(10만 명당 70.4명)이며, 결핵 신(新)환자수는 28,161명(10만 명당 55.0명)으로 전체 환자수, 신환자수 모두 꾸준하게 감소 중입니다. 흔히 결핵이라고 불리는 결핵은 공중 보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세계적인 건강 문제로 남아 있습니다. 이 블로그에서 우리는 결핵의 원인과 전파를 조사하고, 증상과 진단을 탐구하며, 전 세계 공중 보건 계획에 미치는 광범위한 영향에 대해 논의합니다.

결핵의 원인과 전파

결핵은 결핵균 Mycobacterium tuberculosis에 의해 발생합니다. 주로 폐결핵 환자로부터 나온 미세한 침방울 혹은 비말핵(droplet nuclei, 기침이나 재채기를 하면 결핵균이 들어 있는 입자가 공기 중에 나와 수분이 적어지면서 날아다니기 쉬운 형태로 된 것)에 의해 직접 감염되지만 감염된다고 하여 모두 결핵에 걸리는 것은 아니며 대개 접촉자의 30% 정도가 감염되고 감염된 사람의 10% 정도가 결핵 환자가 되며 나머지 90%의 감염자는 평생 건강하게 지냅니다. 발병하는 사람들의 50%는 감염 후 1-2년 안에 발병하고 나머지 50%는 그 후 일생 중 특정 시기에, 즉 면역력이 감소하는 때 발병합니다.

이 질병은 주로 폐에 영향을 미치지만 신장, 척추, 뇌 등 신체의 다른 부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결핵은 감염된 사람이 기침, 재채기 또는 말할 때 공기를 통해 퍼지며, 박테리아가 포함된 비말을 공기 중으로 방출하여 다른 사람이 흡입할 수 있습니다. 결핵 전파의 위험 요인으로는 감염된 개인과의 긴밀한 접촉, 혼잡하거나 환기가 잘 되지 않는 환경에서 거주하거나 일하는 것, HIV/AIDS, 영양실조 또는 특정 약물과 같은 상태로 인해 약화되는 면역 체계, 약물 남용 등이 있습니다.

결핵의 증상 및 진단

폐결핵의 증상을 호흡기와 관련된 증상과 호흡기 이외의 전신 증상으로 구분하여 보면, 호흡기 증상으로는 기침이 가장 흔하며 객담(가래) 혹은 혈담(피 섞인 가래)이 동반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혈담은 객혈(피를 토하는 것)로 나타나기도 하는데, 초기보다는 대체로 병이 진행된 경우에 나타납니다. 또한 병이 진행되어 폐의 손상이 심해지면 호흡곤란이 나타나고 흉막이나 심막을 침범하였을 때는 흉통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전신 증상으로는 발열, 야간 발한, 쇠약감, 신경과민, 식욕부진, 소화불량, 집중력 소실 등과 같은 비특이적인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특히 식욕부진은 환자의 체중감소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성인 폐결핵 환자의 흔한 초기 증상으로는 잦은 기침, 객혈, 발열, 전신적인 무력감과 미열, 체중감소를 꼽을 수 있다. 결핵은 발병하는 부위(폐, 흉막, 림프절, 척추, 뇌, 신장, 위장관 등)에 따라 증상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림프절 결핵이면 전신 증상과 함께 목 부위 혹은 겨드랑이 부위의 림프절이 커지면서 동통이나 압통을 느낄 수가 있고, 척추 결핵이면 허리에 통증을 느끼며, 결핵성 뇌막염이면 두통과 구토, 의식 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결핵 진단에는 일반적으로 병력 검토, 신체 검사, 흉부 엑스레이, 가래 도말 현미경 검사, 배양 검사, 중합효소연쇄반응(PCR)과 같은 분자 검사 방법과 같은 진단 검사가 조합되어 이루어집니다. 결핵의 확산을 예방하고 결과를 개선하려면 조기 발견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결핵과 공중보건

결핵은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공중 보건 문제로 남아 있으며, 특히 결핵 예방,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자원이 제한적인 저소득 및 중간 소득 국가에서는 더욱 그렇습니다. 공중보건의 관점에서 결핵을 다룰 때 고려해야 할 주요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예방 조치: 공중 ​​보건 노력은 결핵 검사 및 검사, 감염된 개인의 접촉 추적, 의료 환경의 감염 관리 조치, 고위험군에 대한 BCG(Bacillus Calmette-Guérin) 백신 예방 접종과 같은 전략에 중점을 둡니다.

치료 및 관리: 결핵을 치료하고 약물 내성 균주의 발생을 예방하려면 시기적절한 진단과 항생제 병용을 통한 적절한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공중 보건 프로그램의 목표는 결핵 약품에 대한 접근성을 보장하고, 치료 준수를 촉진하며, 치료 결과를 모니터링하여 전염을 줄이고 재발을 방지하는 것입니다.

다제내성결핵(MDR-TB) 및 광범위약물내성결핵(XDR-TB): 약물내성 결핵의 출현은 전 세계 결핵 통제 노력에 중대한 도전 과제를 제기합니다. 공중 보건 당국은 약물 감수성 검사를 위한 실험실 역량을 강화하고, 2차 결핵 약물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키며, 약물 내성 결핵 균주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감염 통제 조치를 시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협력적 노력: 결핵을 해결하려면 의료 서비스 제공자, 정부 기관, 비정부 기구, 지역 사회 기반 조직 및 국제 파트너 간의 협력이 포함된 다학문적 접근 방식이 필요합니다. 이해관계자들은 함께 협력함으로써 결핵 감시를 강화하고, 결핵 치료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키며, 결핵 예방 및 통제 프로그램을 위한 자금과 자원 증가를 옹호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결핵은 전 세계적으로 공중 보건에 대한 지속적인 위협으로 남아 있지만 공동의 노력과 집단적 행동을 통해 효과적으로 예방, 진단 및 치료할 수 있는 질병입니다. 인식 제고, 증거 기반 개입 실행, 결핵 통제를 우선시하는 정책 옹호를 통해 우리는 결핵으로부터 자유로운 세상을 향해 노력할 수 있습니다.